기타
경기불황에도 외식프랜차이즈 성장세…대중성·가심비 등 고려해야
기사입력| 2025-04-15 15:54:36
지난해 자영업 시장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들은 소폭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수는 감소했지만, 가맹점 수와 가맹점 평균 매출은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2024년 가맹사업 현황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등록된 정보공개서 기준 브랜드는 1만2377개다. 외식 브랜드 수는 9873개로 전년 9934개에 비해 0.6% 줄었다. 세부업종별로 살펴보면 한식업종의 브랜드 수가 3701개로 가장 많았다. 커피(851개), 치킨(647개), 주점(523개) 등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 가맹점 수 증가를 살펴보면 커피업종과 한식업종이 각각 6.7%, 3.7% 증가를 보였다.
프랜차이즈업계 전문가는 "경기불황에도 외식프랜차이즈의 성장세는 계속되고 있다"며 "창업 전 대중성과 차별화 경쟁력, 가심비 등을 고려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대중성을 브랜드 경쟁력으로 내세우는 외식 프랜차이즈는 많다. 이중 망향 망향비빔국수는 건강한 야채수와 백김치 등 특화 전략을 중심으로 프랜차이즈 확대에 나서고 있다. 망향비빔국수는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이 확대되면서 블루밀이라는 기업 브랜드도 개발했다. 블루밀은 망향비빔국수의 프랜차이즈 사업화를 기반으로 국수제조 사업에 주력중이다. 블루밀 제품의 특징은 특수제조공정을 통해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이다.
밀숲은 칼국수와 만두라는 대중적인 제품을 중심으로 소자본 창업을 경쟁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밑반찬이 많이 필요가 없어 1~2인 운영으로 인건비도 최소화할 수 있다. 밀숲의 주메뉴는 밀숲 칼국수, 육개장 칼국수, 비빔국수, 칼만두국 등이다. 면을 선호하지 않는 고객을 위해 미역국과 시래기국의 국밥류도 준비돼 있다. 밀숲의 콘셉트는 '가성비 좋은 칼국수집'이다.
선명희피자는 타 브랜드와 달리 매일 아침, 하루도 빠짐없이 도우를 직접 반죽해 피자를 활용한다. 진도산 흑미를 섞은 특제 도우다. 대중적인 제품에 도우의 차별화 경쟁력 추가,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 선명희피자 관계자는 "냉동 도우가 아닌 매일 아침 직접 반죽한 생도우를 사용해 쫄깃하고 고소한 식감을 자랑한다"라며 "진도산 흑미를 넣어 고소하고, 소화가 잘 되는 속이 편한 피자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커피전문점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20년 장수 프랜차이즈 브랜드인 카페띠아모는 이탈리아 아이스크림 '젤라또'와 다양한 메뉴군을 갖춘 젤라떼리아 띠아모를 론칭, 브랜드 확장에 나서고 있다. 브랜드 확장의 주요 전략은 가심비다. 띠아모의 젤라또는 매장에서 매일 천연재료를 이용해 만드는 수제 아이스크림이다. 풍부한 영양을 갖춘 건강 아이스크림이다. 특히 커피&음료를 비롯해 젤라또, 베이커리, 샐러드, 샌드위치, 파스타까지 다양한 메뉴군을 갖췄다. 레드오션인 커피전문점 창업에서 벗어나 아이스크림, 디저트카페로 활용도 가능해 가심비 높은 브랜드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