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의 아파트 브랜드 '자이' 전국 곳곳에서 입주민 및 예정자들이 연이어 부실시공을 주장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포항시 남구 대잠동 '포항자이' 입주예정자들이 온라인에 게시한 부실·하자 모습들. 사진출처=포항자이 입주예정자 카페
고품격 아파트 브랜드 '자이'로 잘 알려진 GS건설이 연이어 '부실시공' 논란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GS건설이 시공한 전국 곳곳의 자이 아파트 입주민 및 입주예정자들이 잇따라 부실시공을 주장하면서 명품 브랜드에 먹칠을 하고 있는 것. 이 과정에서 GS건설이 지지부진한 대응을 보이자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긴급 보수·보완 조치를 강제 지시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일부 지역 입주예정자들은 결국 촛불을 들고 GS건설의 부실시공을 성토하는 일도 발생했다.
시공능력평가 6위인 GS건설은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 3186억원에 순손실 1637억원을 기록했다. 또 자이는 브랜드스탁의 아파트 브랜드 순위에서 오랜 기간 삼성물산 래미안에 이어 2위를 유지하면서 명품 이미지를 굳혀가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경북 포항시 대잠동에서 건설중인 자이 아파트가 부실·하자시공으로 논란이 되고 있다. GS건설이 시공한 이 아파트는 지하 2층~지상 34층 12개동 규모로, 총 1567세대가 8월 입주할 예정이다.
입주를 한달 여 가량 앞둔 한 입주예정자 A씨는 최근 청와대 청원게시판을 통해 자이 아파트의 부실 시공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입주에 앞서 7월 초에 사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마감재 파손, 벽지·장판 부실, 계단 파손, 옥상 균열 등 하자가 다수 발생한 것을 확인했다"며 "세대별 평균하자가 30건이 넘고 하자 없는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입주예정자 B씨는 "국내 유명 건설사인 GS건설이 지은 아파트라고 보기 어려울 만큼 하자가 곳곳에서 발견됐다"며 "장판에 얼룩이 생기고 벽 마감재 등이 뒤틀린 상태"라고 밝혔다.
심지어 다른 세대는 보일러에서 새어 나온 물로 벽이나 바닥이 젖거나 잠겨 바닥과 벽을 아예 새로 공사해야 할 형편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용공간인 계단 타일이 부서지거나 떠 있는 곳도 있고 옥상에 금이 가 있는 곳도 발견됐다.
뿐만 아니라 GS건설이 모델하우스에서 공개한 신발장이나 드레스룸 문 등도 실제 시공된 것과 옵션이나 자재와 다르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입주예정자들이 만든 인터넷 카페에는 이런 부실시공 등을 지적하는 글들이 연이어 게시되고 있다. 또한 입주예정자 150여명은 지난 15일 저녁 대잠동 자이 아파트 공사현장 앞에서 'GS건설의 부실시공과 고객 기만'을 주장하며 촛불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GS건설측은 보일러 작업 중 밸브가 샌 집과 창문을 열어둬 빗물이 들어온 집 등 2개 가구만 재시공하고 나머지 가구는 큰 문제가 없어 재시공은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GS건설측은 "재시공은 창문을 열어둬 빗물이 들어온 집 등 2가구에서만 이뤄질 것"이라며 "입주예정자들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해 빠른 시일 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 공사가 완전하게 끝나지 않은 상황이어서 예정자들이 지적한 사항의 상당수는 부실시공으로 볼 수 없다"면서 "앞으로 제기된 하자부분은 오는 8월 입주 전에 적극적으로 수리해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입주예정자들의 하자불만이 쏟아지자 관할 지자체인 포항시가 나섰다. 포항시는 지난 12일 GS건설에 하자 보수 계획서를 받아서 긴급 보수·보완공사를 하도록 지시했다. 하자보수 완료 후에는 각 세대 입주민이 사전점검을 재실시하고, 재점검된 지적사항을 다시 보완해 입주대표들과 합동점검반을 편성해 최종 점검하도록 할 예정이다.
GS건설의 부실시공 논란은 포항에서만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4월 기업형 임대주택인 '동탄레이크자이더테라스'도 입주 전부터 각종 하자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당시 입주예정자들은 저급 내장재 사용, 화재 시 대피로 미비 등의 문제점을 제기했다.
사전점검 이후 200만원 상당의 위약금을 물고 분양을 철회한 입주예정자들도 상당수 있었던 것 알려졌다. 평균 3억원에 달하는 보증금과 50만원 수준의 월세에 비해 공사마감 등 시공에 실망했기 때문이다.
또 지난 5월에는 '김포자이더빌리지'와 6월 '김해율하자이' 등의 부실시공을 개선해달라는 청와대 청원글도 올라왔다. 이들은 각각 불량한 시공마감, 모델하우스와 다른 시공 등을 지적하며 GS건설의 성의있는 대처를 요구하는 등 전국 곳곳에서 자이 아파트 부실시공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박스:"후분양제 서둘러 도입해야" 여론…건설업계 예의주시
새 아파트 부실시공 논란이 연이어 제기되면서 '후분양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후분양제는 주택을 짓기 전 입주자를 모집하는 선분양과 달리 후분양은 공정률 약 60% 정도에서 분양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소비자의 선택권이 높아지고 부실시공을 막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설사 부도로 인한 위험 방지, 빠른 입주, 전매 차단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분양가 상승, 소비자의 자금조달 어려움 등의 단점도 있다.
일단 업계는 부담스러운 눈치다. 공정률이 어느 정도 진행될 때까지 프로젝트를 진행할 자금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후분양제가 도입되면 자금력이 탄탄한 대형 건설사의 쏠림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전체적인 분양가가 오르지 않으면 수익구조에 따른 원가절감으로 부실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말 발표한 '제2차 장기 주거종합계획 수정계획'을 통해 후분양제에 대한 로드맵을 내놨다. 2022년까지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후분양 공급 비율을 확대하고, 민간 주택 사업자가 자발적으로 후분양을 시행하도록 유도하겠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우선 공공부문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 경기도시공사가 단계적으로 후분양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들 기관이 공급하는 공공주택 중 후분양의 비율은 2020년 30%에서 2021년 50%, 2022년 70%까지 올라갈 계획이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