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주택 분양시장은 '양극화'를 넘어 '초양극화' 시대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부동산114(대표이사 이성용)는 21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부동산 시장 진단과 전망'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주제발표에 나선 주택산업연구원 김덕례 연구실장은 "올 하반기 주택시장은 하방압력이 확대될 것"이라며 "서울과 경기 일부, 지방광역시를 중심으로 국지적인 청약 호조세가 이어지겠지만 지방은 청약미달 현상이 속출하면서 초양극화가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실제 주택산업연구원이 올 1~4월 전국에서 분양한 137개 단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순위 청약률이 미달한 곳은 52개 단지로 전체의 38%를 차지했다.
서울의 경우 11개 단지 모두 1순위에서 청약 마감됐고, 지방 광역시(대전, 대구, 광주, 부산)와 세종시는 24개 단지 중 3곳만 1순위 청약이 미달됐다.
반면 경기는 41개 단지 중 20개 단지가 1순위 청약이 미달됐으며 지방은 51개 단지 중 27개 단지가 1순위 청약이 미달되는 등 초라한 성적표를 보였다.
또한 김 실장은 "서울 아파트는 고점을 형성하고 후퇴하는 국면이고 단독주택은 작년 하반기 저점을 형성하고 회복국면을 지나 상승하고 있다"면서 올 하반기에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부동산 시장 이슈 분석과 정책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맡은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부동산 대책이 지역간 양극화를 유발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면서 "미분양 등 건설경기 위축이 가져올 산업 불황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 실장은 "주택시장 공급과잉이 우려된다"며 "최근 3년간 사상 최대 규모의 건축허가 물량이 공급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를 받아줄 가계 수요가 실물경기 위축과 가계신용 위축 등으로 미흡할 경우 주택시장 경기 경착륙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실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과 지방의 미분양 호수는 지난 2015년 1만4000호로 동일한 수준이었지만 올해 3월 현재는 수도권 9000호, 지방은 4만9000호로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또한 주 실장은 "문재인 정부는 과거 정부 때와 달리 각종 고강도 부동산 규제책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앞으로는 부동산으로 큰 이익을 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진 2부 패널토론에서는 심교언 건국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아시아투데이 장용동 대기자, LH토지주택연구원 진미윤 연구위원, 주거복지연대 남상오 상임대표, KDI 오지윤 연구위원 등이 토론자로 나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장용동 대기자는 "주택시장의 인위적 안정보다는 불안을 잠재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예컨대 예비 택지지구를 지정해 유효 수요 있는 곳에 공급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미윤 연구위원은 "정부가 부동산 관리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은 부동산 시장이 안정되지 않으면 사회지출투자의 효과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기 때문"이라면서 "부동산 시장 관리 그 자체가 목표라기보다 여타 부문과의 조율 속에서 제반 정책 효과를 제대로 내기 위한 선택이며, 민간 의존적인 시장 구조에 공공성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남상오 상임대표는 부동산 정책 관련해서 "주거복지 정책이 저소득층 공공임대 정책에 머물러 있다"면서 "민간임대시장에 대한 공적제도나 보호정책이 미비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오지윤 연구위원은 향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해 "계속되는 공급물량 증가로 인한 전세가격 하락, 주택 규제 강화 등이 집값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다만 청약 결과 등을 감안하면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잠재적 주택 구매 수요가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패널토론에 앞서 부동산114의 빅데이터 솔루션 '렙스(REPS)'를 통해 분석한 서울 주택시장 주요 지표가 소개됐다. 서울 집값이 본격적인 조정 국면에 접어들 것인가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멸실물량을 반영한 서울 아파트 순입주물량 추이와 매매 변동률 및 거래량의 장기 시계열 분석 자료가 제시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