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선주거→결혼' 인식 변화…신혼부부 자가비중, 전세 추월
기사입력| 2018-04-02 11:10:19
결혼 1년 미만 신혼부부의 자가비중이 최근 전세 비중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와 달리 최근 세대는 주거 문제가 해결되기 전에는 결혼을 늦추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강해진데 따른 것이라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2일 통계청의 'KOSTAT 통계플러스' 창간호에 게재된 '결혼하면 어떤 집에 살고 왜 이사를 할까' 이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년 미만 신혼부부의 주거점유 형태는 2015년 기준 자가 비중이 37.7%, 전세 비중은 35.1%로 자가가 전세를 앞질렀다.
지난 2010년 기준 신혼부부의 자가 비중이 32.3%, 전세 비중이 44.1%인 점을 비교하면 최근 5년새 자가 비중이 크게 늘어난 셈이다.
결혼 5년 미만 부부의 자가 대 전세 비중도 2010년 45.6%와 33.2%에서 2015년 50.6%와 27.4%로 크게 벌어졌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박시내 통계개발원 통계분석실 사무관은 세 가지 원인을 들었다.
박 사무관은 "선결혼→주거에서 선주거→결혼으로 결혼에 대한 의식과 행태 변화가 일정부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박 사무관은 "지금 결혼하는 세대는 베이비붐(1955∼1963년생) 자녀세대인 에코 세대여서 이전 세대보다 노후자금을 확보한 부모가 자녀가 결혼할 때 자녀세대의 주택마련을 지원하는 경향이 강한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혼부부 특별 분양 등과 같은 정부의 신혼부부 주택 지원정책이나 대출을 얻더라도 자가를 선호하는 현상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다만, 5년 미만 부부의 자가비중은 2015년 기준 서울은 31.3%, 수도권은 37.0%, 비수도권은 52.8%, 전국은 44.3%로 지역별로 차이가 난다.
이후 신혼부부가 출산을 통해 가족을 확장하는 결혼 5~19년 차에는 교육문제로 이사하는 비중이 다른 때보다 압도적으로 높으며, 자가의 비중이 59.7%로 상승한다.
이 가운데 아파트에 거주하는 비중은 69.4%이며 자녀의 출산으로 2세대 가구의 비중은 80.1%에 달하게 된다
자녀의 독립과 결혼, 부부의 은퇴가 이뤄지는 결혼 20~34년 차에는 자가 비중이 67.0%로 치솟지만, 2세대 가구 비중은 65.1%로 감소한다.
이후 부부의 노화와 사망이 이뤄지는 가족 해체기인 결혼 35년 차 이상에서 자가비중은 76.7%에 달해, 4가구 중 3가구는 자기 집에 거주한다. 2세대 가구의 비중은 26.6%로 감소하지만, 1인 가구 비중은 32.3%에 달한다.
아울러 통계청은 결혼으로 가족이 형성되는 결혼 5년 미만 가족형성기에는 직장과 가까운 거리의 비교적 저렴한 주택을 선택하게 되며, 높은 전세 비중과 높은 주거이동성을 특징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5~19년 차 가족 확장기에는 자녀 교육문제가 주거 이동의 중요한 요인이며 20~34년 차 가족 수축기와 35년차 이상 가족 해체기에는 환경이나 건강을 이유로 주거를 이동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 사무관은 "결혼기간을 중심으로 가족 생활주기를 구분했을 때, 가족 생활주기별로 인적·주거 특성에는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정부가 주거지원 정책을 세울 때는 가족의 생활주기 단계별로 주거욕구가 달라지는 것을 고려한 세부적인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밝혔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