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결혼하면서 집 장만한 부부가 자녀수 더 많아
기사입력| 2018-03-28 14:40:32
결혼하면서 집을 장만한 부부가 전세나 월세로 시작한 부부보다 자녀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신혼 초기의 주거 안정성이 중요한 출산 결정 요인으로 분석됐다.
28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신혼부부 주거생활주기와 출산 간의 연관성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혼인 5년 이하 초혼 신혼부부 대상 주거실태 패널조사(2014∼2016년)를 분석한 결과, 혼인 당시 주택 점유형태는 전세가 54.7%로 가장 많았고, 자가가 26.3%, 월세가 10.7%, 무상이 8.4% 순으로 집계됐다.
전세의 경우 현재 자녀수는 0.78명, 계획 자녀수는 1.56명이었다. 주거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는 무상(0.94명, 1.78명)이나 자가(0.86명, 1.66명)인 경우와 비교하면 현재, 계획 자녀수가 모두 작았다. 혼인 당시 전세나 월세였던 그룹 가운데 조사 시점에도 전세나 월세 상태를 유지한 경우는 전체의 93.1%에 달했고, 이들의 현재자녀수는 0.77명, 계획자녀수는 1.55명이었다. 이들의 자녀수는 자가 주택을 소유하게 된 나머지 6.9%의 현재자녀수 1.13명, 계획자녀수 1.75명에 비하면 적은 수준이었다.
결혼 당시 남편 혹은 아내의 부모로부터 주택이나 주택 구매 비용을 상속받거나 지원받을 것으로 기대한 경우는 26.7%였고, 기대하지 않거나 부모가 없는 경우는 73.3%였다. 두 그룹의 현재 자녀수는 0.83명과 0.82명으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계획자녀수는 1.65명, 1.59명으로 부모로부터의 상속이나 지원을 기대하는 경우에 더 많은 자녀를 갖기 원했다. 또한 신혼 초기 주거 마련을 위한 부채는 첫째아 출산 이후 지속적으로 출산 저해요인으로 작용했다. 전세비 상승이나 자가 마련을 위한 경제적 부담 증가도 출산의 가능성을 막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신혼부부의 주거 문제는 혼인 단계 뿐 아니라 출산 등 혼인생활의 진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라며 "혼인 초기의 부부로 지원 대상을 제한하면 출산을 적극 지원할 수 없게 되므로, 지원 기간을 확대하고 생애과정에 따른 주거 확장 등의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