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택시장에서 '똘똘한 한 채'가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침체기에는 가격이 더 많이 떨어질 수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부동산 침체기로 확인되는 2008~2013년 서울 아파트값은 10.0% 하락했고, 경기와 인천은 각각 14.0%, 3.1% 떨어졌다.
서울의 경우 '똘똘한 지역'으로 통하는 한강 이남의 하락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해당 기간 동안 강남구의 하락률은 19.04%로 가장 컸고, 양천구 -18.55%, 송파구 -18.07%, 강동구 -15.47%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중랑구(10.27%), 서대문구(3.31%), 동대문구(2.86%), 은평구(2.67%) 등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강북지역은 침체기에도 상승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역시 서울과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용인(-26.23%), 과천(-24.80%), 성남(-24.66%), 김포(-22.24%), 고양(-22.18%), 파주(-21.69%), 광주(-20.73%) 등의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경기 외곽에 있는 포천(27.66%), 안성(25.11%), 평택(20.32%), 여주(13.84%) 등은 오히려 급등했다.
인천도 침체기에는 인천의 강남으로 통하는 연수구(송도국제업무지구 포함)가 -17.44%를 기록, 가격 하락을 주도했다.
또한 중구(-12.77%)와 서구(-6.67%) 등 송도·영종·청라경제자유구역 조성으로 인해 공급이 많았던 지역 위주로 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과거 침체기(2008~2013년)의 매매가격 변동률을 살펴보면, 실수요 보다는 투자수요가 많이 유입된 지역들을 중심으로 위기에 더 많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수요가 아닌 유동성이나 저금리, 희소성 요인들을 이유로 급등했던 지역은 경기 민감도가 높아 가격 방어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부동산114 윤지해 수석연구원은 "최근에는 '똘똘한 집 한 채'와 관련된 이슈로 서울과 서울 인접지역을 중심으로만 과열 양상이 나타난 만큼 향후 약세 전환시 가격 하락폭은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면서 "오히려 침체기에는 실수요 위주로 움직였던 지역들과 상대적으로 덜 올랐던 저평가 지역들이 대안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최근 시장 분위기에 편승해 똘똘하다는 이유만으로 자산을 한 곳에 집중하는 전략은 과거부터 높은 위험성을 동반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