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서울 아파트 월세 2개월 연속 30% 미만…'갭투자' 증가 등 원인
기사입력| 2017-08-27 15:09:16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이 2개월 연속 30% 미만을 기록했다.
27일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월세 비중이 지난 7월 29.9%로 2015년 2월(28.8%) 이후 2년5개월만에 처음으로 30%대 벽이 깨진 데 이어, 이달에도 26일 현재 29.4%를 보이며 두 달 연속 30% 미만을 기록 중이다.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은 주택경기가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한 2015년 3월에 31.2%를 기록한 뒤 2년4개월간 30%대를 유지해왔다.
이는 저금리의 장기화로 은행 이자보다 높은 임대수익을 얻기 위해 전세를 보증부 월세 등으로 전환하는 추세가 늘면서 월세 비중이 높아진 것이다.
지난해 3월 서울 아파트 전월세 총 거래량이 1만5598건으로 올해 3월(1만7745건)보다 적었지만, 월세 비중은 올해 3월(35.6%)보다 2.5%포인트 높은 38.1%까지 치솟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월세 비중이 줄기 시작해 4월 33.9%로 떨어졌고, 5월 32.7%, 6월 31.3%로 감소한 뒤 7월 이후 2개월 연속 월세 비중이 30% 아래를 기록 중이다.
이에 대해 부동산 업계는 최근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늘면서 전세 물건이 증가한 데다 수도권 아파트의 입주 물량도 늘면서 전세 물량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실제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2만5000여가구로 작년과 비슷하지만 경기지역 아파트 입주물량은 약 12만2000가구로 지난해(8만7600가구)보다 40% 가까이 급증했다.
또한 8·2 대책 전까지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하는 '갭투자'가 많았던 것도 전세 물건 증가의 원인 중 하나다.
갭투자는 주로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최대한 적은 돈을 투자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두는 방식을 의미한다.
일각에서는 갭투자가 집값을 올린 부작용이 있었지만 전세 시장 안정에는 일정 부분 기여했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실제 한국감정원 통계를 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1.99% 오른 데 비해 전셋값은 1.15% 오르는 데 그쳤다.
그러나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억제책의 여파로 갭투자가 감소할 경우, 전세 물량은 줄고 월세는 다시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부동산 규제로 인해 아파트 가격이 더 이상 오르기 힘들다고 예상되면 매매 수요가 전세로 돌아서게 되고 전세 공급물량이 줄어들 경우 월세 비중이 다시 증가할 수 있다"고 전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