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서울 아파트값, 어느 정권때 치솟았나?
기사입력| 2017-06-11 15:45:41
서울의 아파트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과거 정부때의 가격 변화가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3대 정부 초기와 말기 서울의 아파트값을 비교해 보면 '노무현 정부' 때 가격이 크게 상승했다.
'이명박 정부' 때는 하락했고 '박근혜 정부'를 거치면서 반등세로 돌아섰다.
11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노무현 정부 말기인 2008년 2월 서울의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은 노 정부 출범 때인 2003년 2월에 비해 약 57% 상승했다.
2015년 12월 거래가격을 100으로 지수화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2003년 2월 서울 평균이 약 62.6이었는데 정권 말기인 2008년 2월에는 97.9를 기록했다.
이명박 정부 때는 아파트 가격이 초기에 소폭 상승했다가 말기에는 결국 하락세로 마감했다.
정권 초반인 2008년 3분기 102.9로 정점을 찍은 뒤 소폭 하락·상승을 반복하다 정권 말기인 2013년 2월에는 94.9를 기록했다.
2008년 2월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와 비교하면 약 3% 하락한 것이다.
박근혜 정부 때는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지만 노무현 정부 때보다는 상승 폭이 작았다.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된 올해 3월 서울의 아파트 거래가격 평균은 104.4로 정권 출범기인 2013년 2월과 비교해 약 10%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지역별 아파트 가격도 과거 정부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했다.
노무현 정부 때는 '강남 3구'의 아파트 가격이 치솟았다.
송파구는 약 83% 상승률을 기록하며 급등했다. 뒤이어 강남구 약 80%, 서초구 약 79%, 용산구 약 77% 등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때 송파구 아파트 가격은 약 13% 하락해 서울에서 가장 많이 떨어졌다.
반면 노무현 정부 때 상승률이 3번째로 저조했던 중랑구는 이명박 정부 때 약 10%로 1위를 기록했다.
박근혜 정부 때는 서초구(약 15%), 강남구(약 14%) 송파구(약 12%)가 다시 상위권을 탈환했고 성북구(약 12%), 마포구(약 12%)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상승률이 가장 낮은 곳은 용산구로 약 3%에 그쳤다.
이는 각 정부 초기와 말기를 단순 비교한 것으로, 아파트를 매매한 개인의 거래 득실과 일치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역대 정부들은 집권 초기 규제 또는 완화 등의 부동산 정책을 내놨지만 시장의 흐름은 달랐다"면서 "문재인 정부도 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 과열에 맞춤형 규제책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시장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전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