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선 이후 부동산 열기 '꿈틀'…전문가들 '기대감'·'신중론'교차
기사입력| 2017-05-22 08:02:18
5월초 징검다리 연휴와 대통령 선거가 끝나면서 부동산 시장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다.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서울과 일부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아파트 신규 분양물량도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수요자들의 발길이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부동산정책 논의가 활발해지자 소비자들의 기대심리가 반영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대출 규제 등 향후 정책 변화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신중론도 맞서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 7개월만에 최고 상승률…재건축, 오름세 견인
서울 아파트값은 대선이후 상승세에 속도가 붙은 모양새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5월3주차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24% 상승해 지난주(0.15%) 대비 오름폭이 더 커졌다. 이는 11·3부동산 대책 발표 직전인 지난해 10월 21일(0.24%) 이후 주간 상승률로는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기록이다.
재건축아파트는 0.36% 올라 여전히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갔고, 일반아파트는 0.22% 오르면서 지난주(0.11%) 대비 상승폭이 2배 확대됐다.
신도시는 0.01%, 경기·인천은 0.02% 각각 오름폭을 나타내며 지난주와 비슷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서울의 경우 ▲강동(1.11%) ▲송파(0.47%) ▲성동(0.32%) ▲양천(0.25%) ▲강남(0.23%) ▲마포(0.23%) 순으로 올랐다.
지난 2일 관리처분인가를 마치고 7월 이주를 앞둔 강동구 둔촌 주공아파트는 대선 이후 호가가 4000만∼5000만원 이상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팔겠다는 매물물량은 적은 편이어서 실제 거래량은 많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도 대선 이후 2000만∼3000만원이 더 올랐지만 매물은 부족하다.
대선 이후 일반 아파트에도 수요자들이 꾸준히 몰리고 있다. 마포지역 일부 아파트는 4월초에 비해 약 4000만~5000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신도시는 대체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분당, 판교, 위례 등 일부 지역은 최근 호가가 올랐다.
▶부동산 전문가들 '기대감'·'신중론' 등 주장 교차
대선 이후 건설사들이 미뤘던 아파트 분양을 재개하면서 분양시장의 열기도 뜨거워지고 있다.
21일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5월 4주차(5월 22일~5월 27일)는 전국 12단지에서 총 7486가구가 청약접수를 진행한다. 이는 3월 2주차(19곳, 9370) 이후 최대 규모다.
5월 청약물량을 주단위로 보면 1주차 2곳(257가구), 2주차 3곳(2871가구), 3주차 4곳(1656가구)로, 이달들어 4주차까지 21개 단지 1만2270가구가 청약시장에 나오는 셈이다.
4주차 청약접수가 실시되는 단지는 12곳이다.
대표적으로 SK건설은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신길뉴타운 5구역을 재개발하는 보라매 SK뷰를 24일 분양한다. 전용면적 59~136㎡ 총 1546가구 중 일반분양은 743가구다.
GS건설은 경기도 김포시 걸포동 200에 짓는 한강메트로자이를 25일 분양한다. 1단지는 59~99㎡ 1142가구, 2단지는 59~134㎡ 2456가구에 달하는 매머드급이다.
4주차 오픈예정인 모델하우스도 14곳에 이른다. 모두 오는 26일 오픈한다.
수도권에서는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 ▲성남 고등지구 호반베르디움 ▲안산 그랑시티자이 II ▲의왕백운밸리 A3블록 골드클래스(민간임대) ▲e편한세상 추동공원2차 ▲영종하늘도시 유승한내들 스카이스테이(민간임대) ▲한강신도시 예미지 뉴스테이 등 7곳이 오픈예정이다.
이처럼 아파트 시장이 달아오르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 전문가들은 '기대감'과 '신중론' 등 다소 상반된 주장을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탄핵 정국과 대선 등 정치적 불확실성이 제거되면서 관망적인 입장을 보이던 매수자들이 유입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진보정권이 들어섰지만 당분간 부동산 정책은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그는 "내각 구성이 어느 정도 완료되는 6월쯤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보다 구체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다른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대선 이후 서울과 수도권은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지방은 가격 하락 폭이 커지는 등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며 "집값이 지나치게 과열양상을 보일 경우 보유세 강화 등 강력한 정부규제가 나올 수도 있어 정책의 변화를 주시해야 한다"는 신중론을 제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