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베이비붐 세대(1955∼63년생)가 대규모로 은퇴시점에 도달하면서 주택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들 세대 가운데 빚을 제대로 갚기 어려운 이른바 '한계가구'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연구팀의 이동원 과장·이지영 조사역이 6일 발표한 '최근 베이비붐 세대의 주택소비행태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에서 한계가구 비중은 2012년과 2013년에는 각각 4.5%를 기록했다가 2014년 8.8%로 뛰었고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9.0%로 높아졌다. 한계가구는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아 금융 순자산이 마이너스 상태이고, 처분 가능한 소득 대비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액 비중이 40%가 넘는 가구를 의미한다.
2016년 기준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66.7%는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자가거주 비율은 2012년 62.8%에서 2013년 63.5%, 2014년 64.8%, 2015년 65.8% 등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보고서는 "일부 베이비붐 세대는 실직 등 예상치 못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자가주택 매도압력에 노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자가거주 비중은 감소세로 돌아서겠지만 하위 연령세대의 자가거주가 늘어남에 따라 전체 가구의 자가거주 비중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다만 전체 가구의 주거면적은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따라 향후 주택공급정책은 이러한 세대별 주택소비행태를 감안해 장기적인 시각에서 운용될 필요가 있다.
보고서는 "주택공급은 고령가구 증가로 가구의 주거면적이 점차 축소될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중소형 위주로 운용되어야 한다"면서 "주택연금 활성화 등을 통해 소득 안정화를 도모하고 노인의료보험 확충 등으로 재무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되지 않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우리나라 인구 중 14.1%의 비중을 차지하는 베이비붐 세대는 생산가능 인구의 19.2%의 비중으로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평가된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