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현대제철 또다시 사망사고...안전불감증 논란
기사입력| 2014-01-27 14:58:32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 또 다시 사망사고가 발생해 안전불감증 논란이 일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인명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안전관련 투자예산 1200억원을 집행하고 안전관리 전담인력도 50% 이상 충원하는 등의 종합 안전관리 개선대책을 지난해 12월 발표했다. 하지만 1개월여만에 또다시 사망사고가 일어나면서 현대제철 당진공장의 관리 부실이 도마에 올랐다.
특히 고용노동부가 당진제철소를 안전관리 위기사업장으로 지정해 종합안전진단을 하고 상설 감독팀을 운영하는 등 특별 관리 중이어서 더 충격적이다.
27일 전국금속노동조합에 따르면 올 1월 19일 오전 5시10분쯤 슬러그 야드장에서 슬러그 냉각 1차 작업 중 야드 내부의 냉각 및 수위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안전 난간대 안쪽 야드 경계벽으로 이동하던 협력업체 직원 김모(53)씨가 야드 내부에 고여 있는 냉각수 웅덩이에 빠져 목 이하 전신 화상을 입었다는 것. 병원으로 옮겨진 김씨는 지난 23일 오후 9시 패혈증에 의한 다발성장기부전으로 끝내 사망했다.
금속노조는 "현대제철의 현실성 없는 안전계획이 결국 노동자들만 잡아먹는 '죽음의 공장'으로 만들고 있다"며 "특히 과거 현대제철에서 연이어 벌어진 사망재해와 마찬가지로 이번 사고 또한 최소한의 안전조치가 없었기 때문에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는 지난해 5월 아르곤가스 누출로 하청업체 직원 5명이 질식 사망했으며, 같은 해 11월엔 현대제철 당진공장 내 전기를 공급하는 협력업체 근로자가 가스누출로 숨졌다.
한편,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은 위기관리사업장으로 지정된 현대제철에서 또다시 사망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 27일 유감을 나타냈다.
방 장관은 이날 "현대제철이 지난해 종합 안전대책 등 대국민 약속을 했는데도 다시 사고가 발생해 약속의 진정성을 우려할 수밖에 없다"며 "CEO를 포함한 경영진 전체가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진정성 있게 실천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장종호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