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이 금융계열사 3개사를 매각하는 등 고강도 자구책을 마련했다.
현대그룹은 22일 최근 시장에서 제기된 유동성 문제를 해소할 방침으로 현대증권, 현대자산운용, 현대저축은행 등 금융계열사를 모두 매각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방침에 따르면 현대그룹은 금융업에서 철수하게 된다.
현대그룹은 금융계열사 매각으로 7000억∼1조원의 자금을 조달하는 등 계열사와 자산 처분을 통해 총 3조3000억원 이상의 자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금융계열사 매각은 SPC(특수목적회사)를 설립해 자산을 이전시키고 세부적인 매각 방안과 절차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을 비롯한 금융권과 협의해 진행될 예정이다.
현대그룹은 이와 함께 현대상선이 보유한 항만터미널사업 일부 지분을 매각하고 벌크 전용선 부문의 사업구조를 조정해 1조5000억원을 조달할 방침이다.
현대상선이 보유한 국내외 부동산, 유가증권, 선박 등도 4천800억원에 매각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서울 장충동 반얀트리호텔도 매각해 3천400억원 이상을 확보할 예정이다.
이어 현대상선의 외자유치와 현대엘리베이터 유상증자, 현대로지스틱스 기업공개를 추진해 3천200억원 이상을 마련하기로 했다.
현대그룹은 현대아산 등 다른 계열사에 대해서도 내부 구조조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현대그룹의 이같은 자구안이 실현될 경우 1조3000억원 규모의 부채를 상환해 현대상선, 현대엘리베이터, 현대로지스틱스 등 3개 계열사의 기준 부채비율을 올해 3분기말 493%에서 200% 후반대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그룹은 "그룹의 역량을 현대상선 중심의 해운, 현대로지스틱스의 물류, 현대엘리베이터의 산업기계, 현대아산의 대북사업 등 4개 부문으로 집중한다는 전략이다"고 설명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핵심 사업의 한 축인 금융 부문을 매각하는 고통이 있지만 이번 자구계획으로 그룹의 유동성 문제 해결과 함께 핵심부문에 역량을 집중해 지속성장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이번 구조조정을 기점으로 더욱 단단한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