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부총리(가운데)가 2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경제ㆍ인문사회계 연구기관장 간담회'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내년 정부의 경제정책은 경기회복과 일자리 창출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경제ㆍ인문사회계 연구기관장 조찬간담회에서 '2014년 경제정책추진방향'을 설명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지난 6월 간담회를 통해 우리 경제가 처한 상황과 대내외 위험요인, 정책 과제들을 함께 고민하면서 저성장의 흐름을 끊고 민생경제 회복을 가시화하는 방향으로 하반기 경제정책의 큰 틀을 설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회간접자본을 적기에 공급하기 위한 민간투자 사업의 활성화, 에너지 수급 안정을 위한 상대가격 조정 등 정책제안들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포함해 구체화시켰다"고 설명했다.
현 부총리는 "현재 우리 경제는 정상 성장 궤도로 턴 어라운드 하느냐, 반짝 회복 후 다시 저성장의 늪에 빠지느냐 하는 분수령에 놓여 있다"며 "경기회복의 온기가 중소기업ㆍ서민ㆍ자영업자에게 확산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보다 중장기적인 시계에서 보면 향후 몇년은 우리 경제가 선진경제로 확고하게 자리매김할 수 있느냐 하는 중요한 갈림길에 서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2014년에는 어렵게 살린 경기회복의 불씨를 확산시키고 선진국 문턱에서 후퇴하지 않고 전진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는 게 현 부총리의 설명이다.
현 부총리는 "올해 추경 등 정부 중심으로 나타난 경기 회복의 모멘텀이 내년에는 민간 부문으로 확산되고 본격화될 수 있도록 경기회복과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겠다"면서 "경제회복의 온기가 민생 전반으로 확산되고 이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민생안정' 노력도 배가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대내외 위험 요인에 철저히 대비하고 구조개혁과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한국경제의 체질개선을 이루겠다"며 "국정 과제와 정책 성과가 국민들의 삶 속에서 가시화 될 수 있도록 정책 집행과 점검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