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30대 재벌총수 집값 합계 1500억원 넘어, 이건희 회장 1위
기사입력| 2013-10-28 13:52:20
국내 30대 재벌그룹 총수 중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집값이 가장 비쌌다. 총수들의 집값 총계는 1천5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재벌닷컴이 30대 재벌그룹 총수가 거주하는 보유 주택의 공시가격을 조사한 결과(비거주 부동산 제외)를 발표했다. 지난 6월 말 기준 공시가격은 총 1577억원으로 작년 같은 시점 1440억원보다 9.6% 상승했다.
집값이 오른 것은 주택 공시가격이 올랐고, 일부 총수들이 신규로 주택을 매입하면서 보유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건희 회장 집은 공시가격이 281억원을 기록해 가장 높았다. 이 회장의 이태원 자택은 지난해 118억원에서 올해 130억원으로 10.2% 상승했고, 삼성동, 서초동 주택 등의 공시가격도 오르면서 지난해 263억원보다 6.9% 증가했다.
이어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주택가격이 지난해 73억원에서 올해 128억원으로 74.5% 올라 이건희 회장에 이어 두번째로 집값이 높았다. 이명희 회장 보유 주택가격 상승 이유는 기존 한남동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상승했고, 올해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 소유였던 한남동 소재 단독주택을 사들였기 때문이다.
3위는 구자열 LS그룹 회장(87억원)이었고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70억원), 조석래 효성그룹 회장(69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주택 공시가격은 지난해 26억원에 올해 47억원으로 85.1%가 올랐다. 최고 상승률이다.
신 회장의 가회동 소재 단독주택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12억원대에서 올해 34억원대로 두 배 이상 급등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보유한 한남동 단독주택 등의 공시가격은 올해 68억원으로 조사됐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논현동 자택은 42억원,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의 한남동 자택은 32억원이었다. 허창수 GS그룹 회장의 이촌동 공동주택 등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47억원에서 올해 43억원으로 8.6% 하락했다. 이밖에 정몽준 새누리당 국회의원, 이재현 CJ그룹 회장, 구자열 LS그룹 회장,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주택 공시가격도 작년보다 떨어졌다.
법정관리에 들어간 동양그룹 현재현 회장의 성북동 단독주택 가격은 36억원으로 7.4% 올랐지만, 현 회장 명의 주택에 대해서는 지난 10일 법원에서 가압류 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강덕수 STX그룹 회장의 서초동 자택은 공시가격이 지난해 47억원에서 올해 49억원으로 3.7% 상승했다. 재벌닷컴에 따르면 이 집은 세무서에 의해 압류됐다가 최근 해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박재호 기자 jhpark@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