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해외 진출 기업, 국내로 U턴 의향 1.5% 불과
기사입력| 2013-08-20 17:22:47
해외시장에 진출한 기업 중 국내로 U턴할 의향이 있는 기업은 1.5%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해외공장을 운영 중인 제조업체 700개사를 대상으로 국내외 제조업 경영환경 변화를 조사한 결과, '해외공장 경영 여건이 과거보다 악화됐다'는 응답이 37.9%로 나타나 '좋아졌다'는 응답(15.4%)을 2배이상 앞질렀다고 20일 밝혔다.
국내공장 경영여건을 묻는 질문에도 '악화됐다'(31.4%)는 응답이 '호전됐다'(13.6%)는 답변보다 훨씬 많았다.
해외공장 경영환경이 악화됐다고 답한 이유로는 임금인상 및 노사갈등(72.7%)이 첫번째로 꼽혔으며 규제강화(12.6%), 외국인투자 혜택축소(9.5%) 등의 응답도 있었다.
국내와 해외 경영여건을 비교한 물음에는 '해외시장이 더 낫다'는 응답이 78.0%로 나타났으며 90%를 넘는 기업인들은 '현지 해외공장을 다른 국가로 이전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또한 '현재 해외공장을 이전할 뜻이 있다'는 기업인은 9.2%였으며 특히 국내로 U턴할 의향이 있는 기업은 1.5%에 불과했다.
해외공장의 국내 U턴 애로 요인으로는 인건비 부담과 경직적 노사관계(43.0%), 현지철수절차 및 국내이전부담(32.7%), 해외현지시장 점유율 감소(19.0%), 국내의 정부규제(2.3%) 등이 차례로 꼽혔다.
박종갑 대한상의 상무는 "최근 미국 오바마정부의 '자석경제론'과 일본 '아베노믹스'의 예처럼 선진국들은 해외공장의 국내U턴을 유도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며 "우리도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등 근본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 장종호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