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기업체 76% '여직원 출산-육아휴직'에 부담
기사입력| 2013-06-19 17:36:23
기업체 10곳중 7개 이상은 여성 직원이 출산 및 육아휴직을 쓰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737개사를 대상으로 '현재 여성 직원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제도 활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45.1%가 '자유롭게 쓰고 대부분 업무에 복귀하는 편'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32%는 '휴가 쓰지 않고 바로 퇴사하는 편'이라고 답했고, '휴가를 쓰지만 대부분 복귀하지 않는 편'은 22.9%였다.
기업의 76.1%는 여성 직원이 출산 및 육아휴직을 쓰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부담스러운 이유 1위는 35.3%가 선택한 '대체인력을 구하기 어려워서'였다. 계속해서 '팀원들의 업무 부담이 커져서'(22.3%), '신규채용 등으로 인건비가 증가해서'(13%), '대체인력의 업무 숙련도가 낮아서'(11.6%), '휴직 후 복귀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9.8%) 등의 이유를 들었다.
이렇다 보니 실제로 출산 및 육아휴직자가 있는 기업(447개사)의 여성 직원들이 쓴 출산 전후 휴직기간은 평균 6개월이었다. 법적으로 보장된 출산휴가는 90일, 육아휴직은 최대 1년이지만 막상 절반도 쓰지 못하는 셈이다. 세부적으로는 '3개월'이 47.4%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12개월'(18.1%), '6개월'(9.2%), '15개월'(8.1%), '2개월'(3.8%), '1개월 이하'(2.9%) 등의 순이었다.
또한, 10곳 중 1곳(9%)은 제도를 이용한 여성 직원에게 퇴사를 권유한 적 있으며, 그 중 62.5%는 실제 퇴사로 이어진 직원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에서 제도 정착을 논의 중인 '자동 육아휴직제', 즉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연이어 쓰는 현황을 살펴본 결과, 29.6%는 오히려 직원들이 두 제도를 연이어 쓰지 않도록 규정을 두거나 권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 장종호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