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검찰, 비자금 관련 CJ그룹 압수수색
기사입력| 2013-05-21 13:11:41
CJ그룹(회장 이재현)이 '초대형 악재'를 만났다.
검찰의 칼끝이 오너일가를 겨냥하고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21일 오전 비자금 조성 의혹과 관련, CJ그룹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을 벌였다. 비자금의 경우 오너일가의 지시 없이 조성되기가 힘든 만큼 파장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윤대진 부장검사)는 CJ그룹이 해외에서 수십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뒤 국내로 유입한 의혹을 조사하기 위해 이날 서울 중구 남대문로 CJ 본사와 쌍림동 제일제당센터, 장충동 경영연구소, 임직원 자택을 포함해 5∼6곳에 검사와 수사관 수십 명을 보내 회계 장부와 자금 관리 일일보고서, 컴퓨터 하드디스크, 각종 내부 문건 등을 확보했다. 임직원 중에는 자금 부문을 담당하는 부사장급 임원의 자택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진다.
CJ그룹이 해외에서 국내로 반입한 비자금 규모는 70억원대로 알려졌다. CJ그룹은 해외에 특수목적법인(SPC) 등을 설립해 실제로 제조나 영업 활동을 하지 않는데도 마치 거래를 하는 것처럼 꾸미는 위장·가공 거래를 통해 세금을 탈루,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CJ그룹이 설립한 해외법인들이 정상 거래로 국내 CJ그룹 측에 물품을 납품한 것처럼 위장하고 그룹 측은 허위 송장을 발행, 납품 및 원자재 구매 대금을 지불하는 방식 등의 수법으로 비자금을 마련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CJ그룹이 회사 관계자나 위장기업 명의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정상적인 거래인 것처럼 위장해온 것으로 보고 관련 계좌도 함께 추적하고 있다.
CJ그룹의 비자금 조성 의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08년 이재현 회장의 차명재산을 관리했던 자금관리팀장 이모 씨가 살인청부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는 과정에서 비자금 관련 진술을 한 바 있다. 당시 검찰은 40여개의 계좌를 추적했다.
특히 최근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과 이재현 회장의 부친인 이맹희 전 제일비료 회장이 상속분쟁을 벌이면서 소송비용의 출처를 놓고 '비자금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소송금액이 적게는 수천억원에서 많게는 조단위가 될 수 있는 만큼 인지대만 수백억원을 사용, 자금출처에 대한 뒷말이 무성했다. 또 CJ그룹 측은 서미갤러리의 홍송원 대표를 통해 1000억원 가량의 해외 미술품을 사들인 것에 대한 자금 출처도 의혹의 시선을 받았다. 검찰의 CJ그룹 비자금 수사가 어떻게 진행될지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소비자인사이트/스포츠조선]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